Episodes

Thursday Nov 16, 2023

Wednesday Nov 15, 202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0-2
Wednesday Nov 15, 2023
Wednesday Nov 15, 2023
10강.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에르빈 파노프스키, 막스 드보르작
일시: 2023. 11. 15. 오후 7시 30분-9시 30분
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345
교재: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강의자료: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sazuwoyewo

Wednesday Nov 15, 202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10-1
Wednesday Nov 15, 2023
Wednesday Nov 15, 2023
10강.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2): 에르빈 파노프스키, 막스 드보르작
일시: 2023. 11. 15. 오후 7시 30분-9시 30분
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345
교재: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강의자료: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sazuwoyewo

Wednesday Nov 15, 2023

Tuesday Nov 14, 2023
📖 페리클레스의 전몰자 추도식 연설
Tuesday Nov 14, 2023
Tuesday Nov 14, 2023
텍스트: https://www.buymeacoffee.com/booklistalk/wovebupofa

Monday Nov 13, 2023

Friday Nov 10, 2023

Thursday Nov 09, 2023
📖 공공을 위한 시민 인문학
Thursday Nov 09, 2023
Thursday Nov 09, 2023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559&page=1&s_cate=1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 2023.11.29.(수) 저녁7-9시30분, 수강료 : 무료 - 공공을 위한 인문학이 왜 필요한가교양있는 시민과 민주주의자발적 학습모임과 평생 공부
- 공부하는 과목들공공역사학, 사회지리학, 글로벌 히스토리

Wednesday Nov 08, 202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9-2
Wednesday Nov 08, 2023
Wednesday Nov 08, 2023
9강.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일시: 2023. 11. 8. 오후 7시 30분-9시 30분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345
교재: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강의자료

Wednesday Nov 08, 2023
🎤 미학, 예술학, 예술철학 9-1
Wednesday Nov 08, 2023
Wednesday Nov 08, 2023
9강. 미술사의 여러 갈래들(1): 야코프 부르크하르트, 조르조 바사리일시: 2023. 11. 8. 오후 7시 30분-9시 30분장소: 수원시글로벌평생학습관강의 안내: https://learning.suwon.go.kr/lmth/01_lecture01_view.asp?idx=3345
교재: ⟪에로스를 찾아서 - 사랑과 아름다움에 관한 성찰⟫
강의자료

Wednesday Nov 08, 2023
📖 오스만 제국
Wednesday Nov 08, 2023
Wednesday Nov 08, 2023
오가사와라 히로유키(小笠原弘幸), ⟪오스만 제국 - 찬란한 600년의 기록⟫(オスマン帝国 繁栄と衰亡の600年史, 2018)
- 시대 구분봉건적 후국 시대 : 1299?-1453집권적 제국 시대 : 1453-1574분권적 제국 시대 : 1574-1808근대 제국 시대 : 1808-1922
- 제국의 흥망“오스만 제국의 오랜 존속을 가능하게 한 것은 탁월한 왕위 계승 체제와 유연한 권력구조였다. 또한 술탄을 비롯한 제국인들의 다층적이고 다양한 소속 의식도 거기에 한몫했다…. 오스만 제국의 근대란 오스만 제국의 이러한 탄력성과 다층성에 대한 심각한 도전을 의미한다. 즉 근대 이전 제국의 특징이었던 유연한 구조가 균일하고도 동질적인 국민국가를 형성하는 세계적인 흐름을 만나자 기능 부전을 일으키기 시작한 것이다.”

Tuesday Nov 07, 2023
📖 메이로쿠 잡지(2)
Tuesday Nov 07, 2023
Tuesday Nov 07, 2023
메이로쿠샤 동인, ⟪메이로쿠 잡지⟫(明六雑誌, めいろくざっし)
- 문명개화“‘문명개화’는 영어의 시빌리제이션(civilization)의 번역이다. 중국 사람은 이 말을 번역해서 “예의로 나아간다.”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속된 말로 번역하자면 “사람 됨됨이가 좋아진다.”라는 말이다. 시빌리제이션이란 원래 라틴어의 시비스(civis)라는 말에서 나온 것이라고 한다. 시비스는 도시에 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시빌리제이션은 두 갈래로 그 뜻을 드러내는데, 하나는 사회적 차원에서 드러나고, 하나는 일신一身의 몸가짐에서 드러나는 것이다.”
- 문명개화에 접근하는 네 가지 방식(해제 논문)“첫째, 역사적 현상으로서의 ‘문명개화기’라는 시기적 범주를 설정하는 방법, 둘째, 사상으로서의 문명개화, 셋째, 메이지 신정부가 내걸었던 정책의 기조로서의 문명개화, 마지막으로 세간에서 일어나는 현상 일반으로서의 문명개화를 파악하는 방법”

Monday Nov 06, 2023
📖 메이로쿠 잡지(1)
Monday Nov 06, 2023
Monday Nov 06, 2023
메이로쿠샤 동인, ⟪메이로쿠 잡지⟫(明六雑誌, めいろくざっし)
- 잡지의 연혁메이지 6년(明治六年, 메이지 로쿠넨)에 결성된 메이로쿠샤(明六社, めいろくしゃ) 동인들이 1874년 4월 2일에 창간하여 1875년 11월 14일 정간시까지 43호를 발간한 잡지기고자들. 모리 아리노리, 후쿠자와 유키치, 니시 아마네, 니시무라 시게키, 시미즈 우사부로, 사카타니 시로시, 가토 히로유키 등
- 개화“개화 첫걸음의 일”, “반쯤 개화한 것”, “개화의 경지에 도달한 사람”
- 역자의 해설일본어 ‘히라케루開ける’의 한자어 표현. “인위에 의해 번화하고 도회적이 되는 것”, “열린 사람이란 세태와 인정에 정통한 사람”이라는 감각을 동반하는 의미로 사용